“BTS처럼 공연예술도 이젠 멀티뷰 중계로”
“BTS처럼 공연예술도 이젠 멀티뷰 중계로”
  • 이종찬 기자
  • 승인 2021.02.14 10: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몬테카를로 발레, 관객이 카메라 앵글 바꿔가며 감상하게
코로나 팬데믹뿐 아니라 사회행동 변화도 원인

[더프리뷰=서울] 이종찬 기자 = 몬테카를로 발레단의 새 온라인 작품 크레딧에는 감독의 이름이 적혀 있지 않았는데, 거기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다. 사상 처음으로 감독이 아니라 관객들이 직접 컨트롤을 한 것이었다. 최근 장-크리스토프 마이요(Jean-Christophe Maillot)의 발레 <달은 어디에 있는가 Dov’è la luna>와 <내 마음 Core meu>이 온라인 공연됐을 때 관객들은 4개의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장면을 수시로 바꿔가며 볼 수 있었다. 어떤 카메라는 특정 무용수를 따라가는가 하면, 공연이 시작하기 전 무대 뒤를 보여주면서 무대 위의 한계까지 밀어붙여 퇴장하거나 숨을 헐떡거리는 모습을 담는 카메라도 있었다. 또 다른 카메라들은 이전처럼 무대 전체를 잡거나 음악가들의 모습을 근접해서 보여주었다.

많은 나라에서 공연예술계가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제한에 특히 심각한 타격을 받는 상황에서 멀티뷰 기술이 핵심 문제에 대한 솔루션이 되고 있는 것 같다. 작품을 직접 감상할 수 없을 때 어떻게 관객들의 주의를 붙잡아 둘 수 있을까 하는 문제다. 최초의 대처법은 가능한 한 많은 일반적 비디오 콘텐츠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하지만 팬데믹이 1년 가까이 지속되면서 스트리밍 피로증이 많은 열성 공연 팬들을 엄습했다.

특히 편집 결정작업은 무대공연의 영상버전을 보는 경우 성가신 일일 수 있다. 지난 12월 네덜란드 국립발레단의 스트리밍 영상에서는 감독이 부적절한 타이밍에 오케스트라 모습을 자르는 바람에 답답했다.

이런 상황에서 공연예술도 스포츠 경기 중계처럼 멀티뷰를 지향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지난 1월 19일자 영국 파이낸셜 타임즈의 보도는 그런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런던에서 활동하는 데이터과학자 린다 우루처투는 팬데믹 전에는 자주 발레나 오페라를 보러 다녔다. “현장 공연을 갈 때는 무얼 볼지 결정할 수 있어요. 스트리밍 때는 그럴 수가 없지요”

멀티뷰는 애초 스포츠 방송에서 탄생했다. 시청자가 여러 경기나 여러 선수들을 한번에 화면을 분할모드로 해서 보는 것이다. 몬테카를로 발레의 마이요는 F1 경기에서 영감을 얻어 현재는 기술회사를 운영중인 두 전직 무용수의 도움을 받았다. “프랑스의 두 번째 록다운 때 너무 지루해서 자동차 경주를 보곤 했다. 그러다가 스포츠 채널에서는 페르난도 알론소의 자동차 안을 볼 수 있다는 걸 알았다.”

공연 분야에서는 K-팝이 이 이론을 처음 실험했다. 세계에서 가장 인기있는 소년그룹이랄수 있는 방탄소년단(BTS)은 2020년 멀티 카메라 시스템을 동원, 두 번의 대규모 콘서를 열었다. 지난 10월 두 번째 공연에는 190개 국가/지역에서 90만명 이상이 시청했다.

“그런 경험이 얼마나 많은 변화를 가져올지 매우 궁금했다”고 우루처투는 말한다. 그녀는 영국에서 첫번째 록다운 동안에 K-팝을 따라다녔다. 그녀는 제공되는 몰입수준에 완전 매료됐다. 복수의 카메라 앵글 외에도, 관객은 가상의 ‘조명 스틱’으로 반응할 수 있었고 열광했다. 조명 스틱은 BTS 밴드팀 뒤로 연결된 벽을 비추었다. 마치 라이브 공연같았다.

BTS의 가상무대 제작을 맡았던 미국 비디오 테크놀로지 회사 키스웨(Kiswe)에게 이 공연은 인터랙티브 콘서트와 공연에 대한 수요가 있음을 확신시켰다. 10월 공연에서 온라인 관객은 310m의 ‘응원단’을 연출해 냈다. 그리고 참가비율(카메라 각도를 바꿔가며 본 관객수)은 90% 이상이었다. 키스웨 최고경영자(CEO)인 마이크 샤벨(Mike Schabel)에 따르면 “매체산업에서는 하는 말이 있다. ‘우리가 당신에게 이야기하고 당신은 가만히 앉아서 듣기만 하면 된다’고. 그러나 이제 떠오르는 새로운 관객들은 인정받기 원하고 콘텐츠에 참여하길 원한다.”

BTS 온라인 콘서트 장면(사진=youtube.com)
BTS 온라인 콘서트 장면(사진=youtube.com)

마이요 역시 이를 장기간에 걸친 전환이라고 본다. “이런 툴을 개발하는 일은 팬데믹에 의해 가속됐다. 그러나 이는 또한 사회행동 변화와도 관련 있다고 본다. 사람들은 이제 스스로를 늘 보여주려 한다. 그들은 자신들이 생각하는 바를 드러내고 말하려 하며, 자주 가는 식당에 등급을 매기기도 한다”고 그는 말한다.

샤벨에 따르면 핵심은 그런 경험을 타깃 관객층에 맞추어 적용하는 것이다. 오페라에 가는 사람들은 전기봉을 흔들 것 같지 않다. 우루처투는 다른 예술들도 K-팝의 팬부대로부터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고 믿는다. “발레는 대개 새로운 관객을 발굴하려는 압박으로 시장에 내놓게 된다.” 결과적으로 발레 콘텐츠는 반드시 전문가만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열성적인 팬들이라면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몇몇 K-팝 그룹이 해온 일은 그들의 관객이 누구인가에 대해 자본주의적 이해를 한 것이고, 그들을 더욱 만족시킨 것”이라고 그녀는 덧붙인다.

마이요의 <Core meu>의 경우, 수십 명의 무용수와 연주자들이 무대에 올랐는데 멀티앵글은 분명 경험을 업그레이드시켰고, 라이브 공연을 3차원적으로 보여주었다. 이는 전체 안무패턴을 놓치지 않고 보면서도 공연자들의 감정에 몰입할 수 있게 했는데 이는 위쪽에 설치된 카메라 한 대가 전체를 포착해 주는 덕분이었다.

가능성은 무한하다. 연극에서는 카메라가 개별 인물을 따라다닐 수 있다. 그들이 장면 배경 속에 있더라도 말이다. 오페라 팬들은 공연내내 지휘자만 바라보면서도 객석 여러 곳에서 녹음된 소리들을 들을 수 있다.

물론 멀티뷰 관람을 매끄럽게 만드는 것은 여전히 쉽지 않다. 샤벨은 지적한다. “소비자들에게 정말로 매력적으로 보이게끔 전달해야 한다, 네트워크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그리고 기기별 차이도 감안해서.” 몬테카를로 발레의 경우 컴퓨터 두 대를 작동시켜 화면을 확대하려 할 때마다 뚜렷이 끊김이 발생했다. 관객들은 현대의 매끄러운 스트리밍 플랫폼에 익숙하기 때문에 조금만 ‘버벅거려도’ 화면을 꺼버릴지 모른다.

하지만 K-팝보다 작은 규모의 경우 비용이 꼭 엄청나기만 한 것은 아니다. 몬테카를로 발레는 네 편의 멀티뷰 작품 예산(그중 일부는 아직 미공개)이 3만1천 파운드 정도이며. 호스팅 비용으로 매달 4천500 파운드가 추가 소요된다. 키스웨의 경우 클라우드 기반의 테크놀로지를 사용함으로써 현장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샤벨에 따르면 “BTS 콘서트의 경우 서울에 한 두 사람만 두면 되고 전세계에 20명 정도면 된다. 규모를 크게도, 작게도 할 수 있다. 꼭 20만명의 관객만 상대해야 하는 건 아니다.”

보다 세련된 스트리밍 기술의 탄생은 많은 투어를 해야 하는 예술가, 예술단들의 문제에도 하나의 해답이 될듯하다. 짧은 기간에 순회공연을 위해 전세계를 날아다니는 환경비용 말이다. “단 4회의 공연을 위해 80명의 인원이 도쿄로 날아가는 게 의미가 있나 싶네요”라고 마이요는 말한다. “아마 (이 새로운 기술이) 예술가와 관객을 연결시키는 새로운 방법일지도 모르겠네요.”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