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싱가포르 공동창작 무용에 극찬
한국-싱가포르 공동창작 무용에 극찬
  • 배소연 기자
  • 승인 2021.08.05 23: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력지 스트레이츠 타임즈 ‘기대 이상의 명쾌한 답변’
한국 안무가 권혁과 싱가포르 안무가 아델 고의 공동창작 '공존' 영상 이미지(사진제공=BERNIE NG)
한국 안무가 권혁과 싱가포르 안무가 아델 고의 공동창작 '공존' 영상 이미지(사진제공=BERNIE NG)

English Text Below

[더프리뷰=서울] 배소연 기자 = 서울세계무용축제(SIDance, 시댄스)와 싱가포르 T.H.E 무용단의 M1 콘택트 페스티벌이 공동제작한 무용작품 <공존>(영문제목 A Time Within Time)이 싱가포르 언론의 극찬을 받았다. (더프리뷰 7월 22일자 참조)

싱가포르의 권위있는 일간지 스트레이츠 타임즈(The Straits Times)는 찬 스제웨이(Chan Sze-Wei) 기자가 쓴 지난 7월 28일자 <뒤틀린 코로나 시대의 기대 이상의 명쾌한 답변 Unexpected clarity amid the distortions of pandemic time>이라는 리뷰기사에서 한국 안무가 권혁(시나브로가슴에 공동대표)과 싱가포르 안무가 아델 고(Adele Goh)의 공동창작에 대해 “코로나 시대의 일그러진 시간 속 삶의 본질을 다룬 수작”이라고 칭찬했다. 이 기사는 이번 축제의 동일 섹션에서 공연된 두 작품에 대해 논평하면서 <공존>에 대해 거의 모든 지면을 할애했다.

M1 축제의 ‘코.랩.아시안스(Co.Lab.Asians)’ 섹션에서는 당초 세 작품을 제작, 7월 11-12일 에스플라나드 별관 스튜디오에서 라이브 공연으로 올릴 계획이었으나 작년에 이어 올해도 결국 코로나19 방역조처에 따라 라이브 공연이 취소됨에 따라 두 작품만 7월 18일부터 영상(VOD)으로 소개됐다. 올 가을 열리는 시댄스에서는 라이브 공연을 추진 중이다.

스트레이츠 타임즈는 “예상치 못한, 기대 이상의 작업을 선보인 <공존>은 사색적인 명확함과 가벼움을 보여줬다. 아델 고와 권혁은 줌(ZOOM)을 통해 코로나 시대 일그러진 시간 속의 삶의 본질을 다뤘다. 그들은 같은 공간에 있지 않음에도 영상을 통해 서로의 생각과 움직임, 단어와 공간을 매끄럽게 공유했다. 

한국 안무가 권혁(시나브로가슴에 공동대표)과 싱가포르 안무가 아델 고(Adele Goh)의 공동창작
한국 안무가 권혁(좌)과 싱가포르 안무가 아델 고(우)의 공동창작 '공존' 영상 이미지 (사진제공=BERNIE NG)

권혁의 솔로 무대가 녹화되는 동안 아델 고는 흰 사각형 무대 뒤의 배경이 되었으며, 권혁의 흰색 무대와 흰색 의상은 아델 고의 회색 의상, 어두운 조명과 대조되었다. 두 안무가는 파도치듯 굽혔다 펴기를 반복하며 작품을 시작했다. 동작은 공연 내내 단순해 보였고 각 주제는 멈추지 않고 다음 주제로 저절로 넘어갔다.

권혁의 솔로 안무는 다양한 단색의 무대에서 아름답게 촬영되었고, 그의 비율은 바뀌는 시점에 따라 변화했으며 이 영상 효과는 그의 몸을 복제한 것처럼 보이게 하거나 그의 동작을 슬로우 모션으로 연출했다. 그가 계단에서 춤을 추는 장면에서는 아델 고와 같은 공간이라는 착시현상을 주었다.

아델 고의 안무는 공연 내내 지속되면서 권혁의 안무에 반응했다. 길게 뻗은 그녀의 팔과 시선은 류용화이(Liu Yong Huay)의 미니멀리즘 조명에 비춰진 공간을 부드럽게 파고들었다. 

두 안무가가 선보인 <공존>은 공연 내내 추상적이고 시적이었지만 전혀 감정을 자극하거나 극적이지 않았다. 실력이 탄탄한 두 안무가가 선보인 작품에서 섬세한 영상 촬영은 이번 축제를 통해 놀라운 변화를 기여했다고 말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올해에는 예정됐던 세 작품 중 <공존>과 싱가포르 안무가 시마 삽투(Syimah Sabtu)의 <H A S E R> 두 작품만 VOD 비대면 영상으로 선을 보였고, 루비 자야실란(Ruby Jayaseelan), 바니 헤이칼(Bani Haykal), 이프란 카스반(Irfan Kasban)이 공동 작업한 <테르발렉 Terbalek>은 짧은 영상촬영물이 그들의 공연을 제대로 담지 못했다고 판단됨에 따라 취소되었다. 

시마 삽투의 <H A S E R>는 말레이어로 동요하는 마음, 즉 ’불안한 resah‘에서 파생했다.  2019년 오프 스테이지 플랫폼(Off stage platform) 라이브 공연에서 보여준 원초적 에너지는 영상 버전에서는 심심한 카메라 구도와 혼란스러운 장면이 대신했다. 본래 이 작품의 장점은 무용가의 기이한 카리스마와 다양한 움직임의 전경과 배경을 뒤덮을 정도로 대조적인 움직임들을 나란히 묘사한 시마의 3차원 광경이었다. 그러나 작품은 관객의 호기심을 자극하면서도 급하게 종료되었으며, 아직 미완의 작품임을 상기시켰다.

다음은 스트레이츠 타임즈의 영문기사 전문.

Dance review: Unexpected clarity amid the distortions of pandemic time
by Chan Sze-Wei

Co.Lab.Asians
T.H.E Dance Company
M1 Contact Contemporary Dance Festival
Video-on-demand from Sunday (July 18)

The Co.Lab.Asians triple bill, created for the cancelled edition of last year's festival and intended for live staging at the Esplanade Annexe Studio on July 11 and 12, was yet another casualty of the heightened alert restrictions.

Two pieces - H A S E R by home-grown choreographer Syimah Sabtu and A Time Within Time by Singaporean Adele Goh and South Korean Kwon Hyuk - had to be adapted for video-on-demand.

The third work, Terbalek by Ruby Jayaseelan with Bani Haykal and Irfan Kasban, was cancelled as its creators decided that the integrity of the live work could not be maintained given the short runway to adapt it for video.

Viewing dance performances in a noisy home and turbulent mood is not easy. 

H A S E R (an anadrome of "resah", or restlessness in Malay) did not fare well in adaptation. The raw energy of the earlier live edition from the festival's 2019 Off Stage platform was hard to access in this video version with a flat frontal perspective and disorienting cuts.

The work's strength lay in the cast's idiosyncratic charisma and Syimah's way with three-dimensional tableaux that juxtaposed contrasting movement qualities, foregrounding and backgrounding various movement motifs.

While intriguing, it ended abruptly, suggesting a need for further development.

What was unexpected was the meditative clarity and lightness that came through the streaming of A Time Within Time.

In a collaboration developed entirely over Zoom, Goh and Kwon captured the essence of living in distorted time during a pandemic. They seamlessly integrated their ideas, movement vocabularies and even physical spaces.

Kwon's pre-recorded solo was projected on a backdrop behind a white square platform on which Goh danced live, his plain white space and costume the inverse of Goh's grey outfit and dark lighting.

Both began with an undulating repetition, curving their backs up and down.

The movement remained deceptively simple throughout - angular or extended limbs, a figure eight of the hands. The brief motifs flowed unceasingly, each movement gradually transforming into the next.

Kwon's solo was beautifully captured in various monochromatic locations, shifting perspectives varying his proportions, sometimes with video effects layering multiples of his body and distorting the speed of his movement. At one point, he danced on a staircase landing that might have been a continuation of Goh's platform.

Goh was a constant flow and counterpoint throughout, her reaching arms and gaze carving softly through spaces defined by Liu Yong Huay's minimal lighting design.

The two dancers' relationship remained transparently abstract and poetic, never emotive or dramatic. These two seasoned performers' filmic sensitivity made for a stunning translation of his live work into video.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