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리뷰] 2022 CPH STAGE, 그 두 번째 날
[축제리뷰] 2022 CPH STAGE, 그 두 번째 날
  • 하영신 무용평론가
  • 승인 2022.08.15 14: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동체적 삶, 그 지속가능성에 관한 다양한 장면들 혹은 입장들
CPH STAGE banner © Danish performing arts
CPH STAGE banner © Danish performing arts

[더프리뷰=코펜하겐] 하영신 무용평론가 = <CPH STAGE>는 수도 코펜하겐에서 열리는 덴마크의 공연예술축제다. 2013년에 개시, 9회에 당도한 올 해의 행사는 6월 2일부터 11일까지 열렸고 필자는 8일부터 10일까지의 국제 방문자 프로그램(International Days)을 참관했다. 모든 현장은 저마다의 현장, 세계 공연예술의 판도가 ‘contemporary’라는 슬로건 아래 통합되는 듯해도 그래도 현장들은 각자가 걸어온 역사의 끄트머리, 결코 나란하지 않다. 다른 현장에는 다른 감도의 장면들이 있다. 이를 소개한다.

Oceanic1 © Lina Ikse
Oceanic © Lina Ikse

OCEANIC

choreographer: Marie Topp & sound and instrument: Julia Giertz

꽤 오래 전부터 예술은 가속하고 격변하는 세계와 그에 거소하지 못하는 우리의 분절된 삶의 양식과 단절된 관계들을 적시하고 경고해왔다. 거기에 예술의 위무가 있던가. 사실 나는 예술의 그 끊임없는 질문에 지쳐간다. 아니 작품의 경험이 누적되어갈수록 불안과 고독을 감지하는 어떤 촉수가 단련되어 가는 것 같아 종종 반문하게 된다. ‘뉴스’ ‘르포르타주’ - 차마 외면하고 싶은 그 고발적 시각들과 예술은 어떻게 다른가. 나는 예술과 더불어 행복하거나 혹은 회복 가능한가. 대안도 위안도 되지 못하는 그 끝없는 동어반복에 가끔은 진절머리가 나서 차라리 풀, 나무, 돌, 바람, 그렇게 무념한 것들을 동경하게도 된다. 그 지점에서 마리 토프(Marie Topp)의 작품이 출현한다.

어퍼컷댄스시어터의 ‘돼지의 사투’(이것은 필자의 표현이 아니다. “Here we witness the pig's struggle.” 단체가 작성한 리플렛의 문구다)의 대척점에 마리 토프의 시연이 있다. 작품이 개시되어도 꽤 오래 암흑이 지속되고 공간은 어떤 음파로 채워진다. 시야를 박탈당했기 때문에 그 파동은 다가오고 감싸고 지나가는 물질로 촉진된다. 온몸의 촉각이 항진되고 마침내 그 작동이 몸에 익을 무렵 서서히 무대의 조도(照度)가 오른다. 처음부터 끝까지 무대의 조명은 색이나 강도(强度)로 조작되지 않는다. 그저 어둠과 변별되는, 공간으로부터 사물 혹은 생물(작품 내내 마리 토프는 인격적 순간을 갖지 않는다)을 섬세히 양각(陽刻)하는 빛일 뿐. 즉 작품은 철저히 물질적 세계의 일면(一面), 주체의 바깥이다.

주체의 작용 혹은 문명의 작동을 거세하기를 마음먹은 이 작품에는 고생대(古生代) 혹은 우주적 자연물이 연상되는, 고목 같기도 광물 같기도 한 질감의 비정형(非定型) 물체들이 놓여 있다. 안무가 마리 토프와 덴마크 국립공연예술학교(The Danish National School of Performing Arts)에서 만나 지난 10년 동안 협업해온 작곡가 줄리아 기어츠(Julia Giertz)가 제작했다는 이 수제 기계식 현악기는 지상의 음계 밖 소리를 창출한다. 선율도 리듬도 없이 오로지 크레셴도(crescendo)와 디미누엔도(diminuendo) 사이 강도로만 출현하는 이 이질적 사운드에 마리 토프의 목소리가 조응한다.

‘목소리’라는 단어는 마리 토프가 내는 소리에 대한 정교한 표현이 못된다. 마리 토프의 소리는 성대의 울림으로부터 발생하지만 우리가 말하고 노래하듯 외향(外向)하지 않고 그녀의 신체 안에 머문다. 즉 그녀의 상태를 표지(標識)한다. 그녀의 행위는 기어츠의 음향에 반응하는 내부로부터의 소리에 합치한다. 몹시 느리고 한없이 미시적인 그 움직임은 세밀하다 못해 우리 몸에 새겨진 시간의 감각을 해체한다. 초침이 안내하는 균등함 따위는 없는 한없이 팽창된 질적인 시간의 도래. 그렇게 다른 차원을 감각케 하는 작품.

 

SONGOF8 © Sofie Pedersen
SONG OF 8 © Sofie Pedersen

SONG OF 8

company: The Institute of Interconnected Realities

dancers: Ida-Elisabeth Larsen, Marie-Louise Stentebjerg, Jonathan Bonnici

<Song of 8>이 시연된 후셋극장(Husets Teater)은 스튜디오형 공연장이다. 건물 2층의 공연공간은 오래된 석조 건물의 실내홀 그대로다. 천고가 높고 오래된 마루가 삐그덕 소리를 내고 외벽의 길쭉한 창으로부터 자연광이 들어오는, 직사각형 공간의 3면 가장자리를 따라 의자가 놓여 있고 나머지 가로 긴 변에는 보라색 직물이 드리워져 있다. 공연이 시작되면 짧은 반바지와 얇은 티셔츠 차림으로 몸을 드러낸 여자 무용수 두 명과 남자 무용수 한 명이 관객들이 입장했던 출입문으로부터 행위를 시작한다.

이 작품은 연속하는 골반의 움직임으로 적층된다. 세 무용수는 드미 플리에(demi plié) 자세로 골반을 움직여 8자 그리기의 연속을 수행한다. 입으로는 ‘아~’ 소리를 내며 진행하는데, 3명은 각기 자신의 몸성을 따라 움직여지는 대로 움직이고 소리가 나는 대로 소리를 낸다. 움직임의 반복이 에너지로 집적되어 임계점에 치달아 섹슈얼리티로 폭발하면 공연이 마무리가 되는데, 그 50여 분의 과정은 완벽히 해체적이다. 행위와 동선에는 아무런 조형적 약속이 없고, 소리도 불협이다.

그 와중에 집중력을 놓치지 않고 에너지를 축적해가는 무용수들의 몰입이 놀라울 뿐인데 그 발현된 몸성이 관객에게로 전이되지 않으니 관음적 체험에 약간의 불편감이 느껴질 지경. 그러나 땀으로 흠뻑 젖은 실연자들의 몸이 증명하는 바, 몸성 그 자체의 출력을 시도하는 작품의 아이디어는 유효했다. 제목의 의미심장함, 과연 춤은 몸의 노래이기도 하다. 정돈된 실내에서의 좌정(坐停)된 겸연쩍은 관람 말고 어스름한 해변의 모닥불 주변이었다면 몸성의 전이가 조금 더 용이하지 않았을까? 모두 일어나 8자 그리기에 동참하며 집단적 무아지경에 이르는 장면을 상상해보게 되는, 자연발생적 참여가 유도되는 다른 환경이 필요하지 않을까 궁리가 남았던 공연.

 

AT THE INTERSECTION, THEYGET A NEW SOFA © Søren Meisner
AT THE INTERSECTION, THEY GET A NEW SOFA © Catrine Zorn 

AT THE INTERSECTION, THEY GET A NEW SOFA

company: Hotel Pro Forma

심사위원 특별 추천작(Jury’s special recommendation)

<At the Intersection, They Get a New Sofa>는 한 젊은 여성(Rosalinde Mynster)의 독백 형식으로 빚어지는 모노드라마다. 무대에는 50여 개의 LED 바가 마치 자작나무 숲처럼 펼쳐져 있고, 그 숲의 빛과 색과 소리로부터 여주인공은 전의식(前意識, preconscious)의 지대로부터 기억의 편린들을 소환한다.

이 작품이 이번 2022년 CPH STAGE 연극 부문(CPH STAGE는 부문을 구분하지 않았지만) 심사위원 추천작이다. 일단 작품을 받치고 있는 이름값들이 무겁다. 덴마크를 대표하는 작가 헬레 헬레(Helle Helle)의 소설 <They>로부터 발췌된 시나리오. 덴마크를 비롯한 유럽 권역에서 익히 예술적 성과를 인정받은 바 있는 예술감독이자 무대 디자이너인 커스틴 델홀름(Kirsten Dehlholm)의 연출. 그리고 문학, 영상, 음악과 퍼포먼스의 융합.

 

AT THE INTERSECTION, THEYGET A NEW SOFA © Søren Meisner
AT THE INTERSECTION, THE YGET A NEW SOFA © Catrine Zorn

저녁 8시, 메인 극장에서의 공연, 추천작, 그리고 ‘cross-disciplinary artistic work’. 새로움에의 기대와 각오가 서 있던 관람은 의외로 소박한 경험으로 끝났다. 모노드라마인 만큼 한결 세밀해야 할 관람이 영어자막을 경유하느라 디테일한 뉘앙스들이 다 탈락되어 버린 탓도 있겠지만(솔직히 덴마크어로 독백하는 Rosalinde Mynster의 연기력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할 수 없었다) 의외로 이미지와 내용의 전개 모두에서 운용이 평이하기도 했다.

 

AT THE INTERSECTION, THEYGET A NEW SOFA © Søren Meisner
AT THE INTERSECTION, THEY GET A NEW SOFA © Catrine Zorn

하지만, 그 현란해지기 십상인 ‘학제간 작업’이라는 수사를 달고 의식의 밑단을 배회하면서도 조용하고 담백했던 80여분은 막후에 오히려 은근한 힘을 발휘했다. 반전에 반전에 반전이 속도전을 치르는, 그리고 빈틈없이 작위(作爲)된 미장센들의, 우리네 영화와 연극과 드라마가 버거워진지 사실 오래다. ‘잘’ ‘만든다’라는 것은 무엇일까. 몽타주와 콜라주, 조각난 서사가 현대적 삶을 제유하듯 서사의 속도와 감도는 그 도시의 삶을 닮는가. 이 작품 외에도 대부분의 공연들이 순하다. ‘휘게(hygge)’, 아늑하고 좋은 기분을 유지하려는 소박한 일상적 태도들이 바탕에 깔려있기라도 한 듯.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