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리뷰] 2022 CPH STAGE, 그 세 번째 날
[축제리뷰] 2022 CPH STAGE, 그 세 번째 날
  • 하영신 무용평론가
  • 승인 2022.08.15 14: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동체적 삶, 그 지속가능성에 관한 다양한 장면들 혹은 입장들
CPH STAGE banner © Danish performing arts
CPH STAGE banner © Danish performing arts

[더프리뷰=코펜하겐] 하영신 무용평론가 = <CPH STAGE>는 수도 코펜하겐에서 열리는 덴마크의 공연예술축제다. 2013년에 개시, 9회에 당도한 올 해의 행사는 6월 2일부터 11일까지 열렸고 필자는 8일부터 10일까지의 국제 방문자 프로그램(International Days)을 참관했다. 모든 현장은 저마다의 현장, 세계 공연예술의 판도가 ‘contemporary’라는 슬로건 아래 통합되는 듯해도 그래도 현장들은 각자가 걸어온 역사의 끄트머리, 결코 나란하지 않다. 다른 현장에는 다른 감도의 장면들이 있다. 이를 소개한다.

KABOOM © Lars Vind-Andersen
KABOOM © Lars Vind-Andersen

 

KABOOM–THE ART OF DESTRUCTION

company: Live Art Denmark

사실 예정에 없던 관람이었다. 원래의 계획은 Fix&Foxy라는 창작집단의 <Avatar Me>라는 온라인 라이브 공연(online live performance)이었다. 줌(Zoom) 링크를 통해 1:1 방식으로 진행된다는 이 공연은 사적인 공간과 좋은 사양의 컴퓨터가 필요하다는 이메일을 관람 몇 시간 전에야 보내왔으니 피치(Pitch, 공연 홍보와 계약을 위한 사전 프리젠테이션) 세션에 참석중이던 타지의 이방인이 해결하기에는 난감한 전제. 접속이 가능했다면 남아프리카공화국, 브라질, 인도나 말레이시아 어딘가의 생면부지 누군가로서의 45분간을 소요(逍遙)하며 공연예술의 미래형 디지털 인터페이스와 아날로그 현실의 과거적 단면, 그 양단을 고민하게 되지 않았으려나.

 

KABOOM © Ellen Friis
KABOOM © Ellen Friis

대신 관람하게 된 <Kaboom>은 반대급부형이랄까. ‘우르르쾅’이라는 의성어 제목에서 예상 가능하듯 어린이들을 위한 참여형 렉처 퍼포먼스. 밝고 환한 교실, 실험실 가운을 입은 남녀 퍼포머가 45분간 금기의 해제를 경험하게 해준다. 흉상을 비이커에 빠뜨리고, 꽤 유명한 명화들의 복사본을 덧칠하고 찢고, 악기를 부수고… 예술과 유희의 친연성을 불러일으키는 프로그램이 꽤 잘 짜여 있어 일반 어린이 관객은 물론 성인 프로모터들에게도 즐거운 한때였다.

 

STORMEN 'THE TEMPEST' © Søren Meisner
STORMEN-THE TEMPEST © Søren Meisner

STORMEN–THE TEMPEST

company: Glad Teater

choreography: Antonio Quiles

on stage: Janick Pihl Nielsen, Dan Roland Lund, Piet Gitz-Johansen

어쩌다보니 이런저런 장르와 여기저기의 현장을 경유하며 살았고, 어떤 경계는 넘어서는 일이 극심히 어렵고 고통스럽기조차 했다. 천성이 단박에 혹은 절로 개방되는 타입은 못 되어서 연유들을 캐묻고 납득할 계기들을 찾게 되는데, 간신히 알게 된 건 사는 일에나 예술에나 ‘고정값’은 없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예술작품은 지난 온 경험들의 총합이기도 하고 그 총합을 넘어서는 어떤 모멘텀이 되기도, 게다가 그 관람에는 저마다의 역사가 작용하니, 예술작품의 제작과 수용은 집합적이면서도 개별적인 들뢰즈적 ‘사건’(생성론자로서 들뢰즈는 ‘생성’과 ‘변화’와 ‘운동’을 중요시하지만 동시에 그를 비롯하게 만드는 구조와 논리로부터의 연역을 강조함으로써 생성론의 일회성을 극복함과 동시에 구조주의에 역동성을 부여했다. 즉 ‘사건’은 그것의 구조와 논리로써 파악 가능할 때 ‘의미’로 성립한다)이다.

글래드 시어터의 <Stormen-The Tempest>는 또 한 번의 ‘고정값’을 흔드는 ‘사건’이 되었다. 셰익스피어의 <폭풍우(The Tempest)>를 참조하여 눈(目, the eye of the hurricane)과 회오리, 고요와 격동의 양단(兩端)을 지닌 폭풍우로서 삶을 대유(代喩)한 이 작품은 45분간 세 남성 무용수가 폭풍우를 겪어내는 경과를 펼쳤다. 비와 바람 등 자연으로부터의 소리로 그려지는 폭풍우의 다양한 정황을 그들은 따로 또 같이 잘 치러내었지만 뭔가 미진했다. 어쩐지 극한의 위기, 절정 직전에서 사그라진 중소형급 태풍 같은 느낌이었달까. 무용수들의 호흡과 합이 좋았기 때문에 질문은 안무가에게 돌아갈 몫이었다. 그는 왜 목전에서 스스로 멈추었을까? 나는 내내 첫날 어퍼컷댄스시어터의 <Limbo>를 소환하며 대한민국의 ‘극한’과 덴마크의 ‘극한’의 차이를 가늠했다. 그래도 표현은 그 수위가 ‘꽉’ 찬 게 더 좋은 거 아닌가? 예술은 일상의 감각과 사유의 경계를 확장해줄 때 의미로 성립하니까?

 

STORMEN 'THE TEMPEST' © Søren Meisner
STORMEN-THE TEMPEST © Søren Meisner

다음 공연장으로 동행하게 된 타국 공연 관계자의 질문에 답이 있었다. “저 셋 중 두 명이 시각장애인 거 알아?” “‘blind’? 블라인드가 무슨 뜻이야?” 목도한 상황과는 도무지 각이 맞지 않는 단어인지라, 혹시 무슨 다른 뜻의 속어인가 그 명백한 단어를 되물었다. 그는 시각장애를 설명했고 믿을 수 없는 나는 프로그램을 들췄다. “아니야, 봐봐. ‘다른 능력을 지닌 배우들(actors with different abilities)’과 작업했다고 쓰여 있잖아.”(이 문장은 나에게 학제간 작업을 의미했었다). 그러나 그는 작년의 피치 세션에서 이 작품을 보았다며 상황을 확신했고 한국에도 이런 종류의 작업이 얼마나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물었다. 그렇게 많진 않지만… 얼버무린 내 머릿속 사정은 좀 복잡해졌다.

숙소로 돌아온 나는 다시 CPH STAGE의 자료들과 공연장에서 받은 글래드 시어터 자체 제작프로그램을 꼼꼼히 검토한다. 어디에도 장애를 지시하는 단어는 없다. 혹시나 싶어 작년의 피치를 검색한다. ‘with disabilities’! “글래드 시어터는 2006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지난 15년간, 장애가 있는 연기자들과의 공연을 창작함으로써 공연예술의 국면에 도전해왔습니다(Glad Theatre was established in 2006. For 15 years, they have been challenging the state of performing art by creating performances with actors with disabilities.)”

 

STORMEN 'THE TEMPEST' © Søren Meisner
STORMEN-THE TEMPEST © Søren Meisner

공연의 어떤 장면들이 복기되고, 해석이 다른 각도로 정렬한다. 이제 작품의 어디에도 미진한 구석이 없다. 오히려 한계를 넘어 불가능을 가능성으로 전환한 작품이 되었다. 도대체 얼마만큼의 연습량이, 어떻게 다져진 관계가 그 연행을 가능하게 한 건지! 항시 주장해왔던 단체기반형 예술에서의 단체의 직능, 공연예술단체란 공연의 경험과 성과로서의 연혁 뿐 아니라 예술의지와 훈련을 포함하는 일상을 공유하는 ‘공동체’로서의 역사를 지닌 유기체적 집단이어야 한다는, 이미 희소하고 앞으로는 영영 불가능할 박제된 당위의 실현을 목격한 감동이 있었다.

이런 일은 종종 있다. 막후에서 의미를 적어내려 가는 일을 수행하다보면 공연 중에 붙든 의미가 가중되거나 다른 의미를 연쇄하기도 하고, 반대로 의미화에 실패하는 잉여로 판명되는 경우도 있다. 이 작품이 던지는 물음은 좀더 본원적이다. 무엇이 예술인가, 어디까지가 예술적 성취이고 어디부터가 아닌가, 오래 물어왔고 컨템퍼러리 예술환경에서 적지 않은 변화를 겪으며 가변(可變)을 상수(常數)로 각오해두었어도 어쨌든 치우지 못한 경계의 한 말뚝이 흔들린다.

제법 오래 전, 손의 제약을 극복한 피아니스트의 연주가 세간의 주목을 끌었었고, 나에게 그 연주는 ‘다름’보다는 ‘불충분’을 환기했고, 그때로부터 지금까지 나는 장애를 전제하거나 전시하는 일에 적어도 오늘의 경험과는 다른 감정과 판단을 지녀왔다. 아마도 연관하는 차후의 모든 판단이 달라지지는 않을 것이다. 토플리스가 허용되는 해변과 남녀공용 화장실과 탈의실에 터부가 없는 유럽의 나신(裸身)과 다른 환경을 살아온 우리네 나신이 무대 위에서 다른 뉘앙스를 풍기는 것처럼, 이 역시 마찬가지다. 아니 아직은 더한 간극을 지닌 일인 것이다. 하지만 <Stormen>을 겪음으로써 적어도 어떤 당위를 확신하게 되었다. 일상적 감각 안으로 ‘다름’을 가져오기, 그 ‘다름’의 감각조차를 지워내기. 비단 장애와 비장애 뿐이랴, 전문가와 비전문가, 예술성과 대중성 등등 CPH STAGE는 여러 각도에서 예술을 둘러싼 경계의 무화를 요청했다.

 

ACT OF GRAVITY © Søren Meisner
ACT OF GRAVITY © Søren Meisner

ACT OF GRAVITY

company: Recoil Performance Group

choreography: Tina Tarpgaard

dancers: Astrid Pauline Schmidt Andersen, Fabian Birger Wixe, Urana Marchesini, Vincent Jonsson

심사위원 특별 추천작(Jury’s special recommendation)

두 편의 심사위원 특별 추천작 중 하나인 <Act of Gravity>는 여러모로 독특하다. 우선 연행공간부터 그렇다. 공연장으로 선택된 Den Grå Hal은 춤공간의 전형과는 거리가 멀다. 개방형 앞마당에 앉은 세모 지붕 벽돌건물은 일단 거대하다. 1891년에 지어져 기병 훈련에 사용되었다가 1972년부터 다양한 문화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1천 7백 명 수용능력을 지닌 이 건물의 주 용도는 대형 콘서트. 밥 딜런(Bob Dylan)과 패티 스미스(Patti Smith)로부터 소닉 유스(Sonic Youth),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Rage Against The Machine), 레드 핫 칠리 페퍼스(Red Hot Chili Peppers), 스매싱 펌킨스(Smashing Pumpkins), 프로디지(The Prodigy), 포티셰드(Portishead)까지 어마어마한 에너지를 출력하는 록 뮤지션들의 공연장이었다면 그 육중한 규모가 짐작 가능할까. 무대 아래로 하얀색 플라스틱 의자들이 촘촘히 놓여 있었으나 빈 좌석을 찾기 어려울 만큼 많은 관객이 군집했다. 무용공연에서는 처음 경험하는 인파다(관광객을 포함하는 지역 거점 오페라극장에서의 클래식 발레 공연을 제외하고). 더구나 서울의 20분의 1, 인구 50만 명 규모의 도시에서 이런 일이 가능하다고? 보면서도 믿기지 않은 광경이었다.

 

ACT OF GRAVITY © Søren Meisner
ACT OF GRAVITY © Søren Meisner

질적으로나 양적으로나 이 시즌 최대의 관객 호응도를 자아낸 이 작품의 안무가 티나 타프고르(Tina Tarpgaard)는 덴마크를 대표하는 중견급 안무가이다. 덴마크 국가공연예술상(Årets Reumert, The National Danish Performing Art Award)을 두 차례나 수상(<Frost>(2010), <Living Room>(2012))한 그녀는 리코일 퍼포먼스 그룹(Recoil Performance Group, 2005년 창단)을 이끌며 춤과 협업장르, 미학과 대중성, 예술과 과학, 사유와 실험과 실천 사이를 거침없이 누빈다.

<Act of Gravity>는 제목 그대로 중력의 작용에 관한 탐구다. 모두의 삶에 관여하는 근원적 힘, 중력. 특히 춤은, 예술로 조형되기 이전 원천적 질료로서의 춤 그 자체는 일상을 유지하는 항상성(恒常性)으로서의 중력을 이겨내고 추어올려진 초과(超過)적 힘 아닌가. 티나 타프고르는 이 탐구를 대중강연과 예술과 엔터테인먼트를 통한 과학적 접근을 시도하는 이니셔티브 플랫폼 ‘사이언스 앤 칵테일(Science & Cocktails, 2010년 Jácome Armas 설립)’과 연계하여 심화했다.

 

ACT OF GRAVITY © Søren Meisner
ACT OF GRAVITY © Søren Meisner

공연은 우선 사이언스 앤 칵테일의 영어 렉처로 시작한다(덴마크는 영어를 공용어처럼 사용한다. CPH STAGE 기간의 공연작품도 <At the Intersection, They Get a New Sofa>를 제외하고 모두 영어본이었다). 판서와 공식도 등장하지만 1시간 가량의 강연은 토크쇼의 감도다. 성근 영어실력 탓에 눈치껏 파악한 내용의 근간은, 중력이란 것은 그저 ‘낙하하는’ ‘일방적 힘’이 아니란 것, 공간과 시간과 사물은 상호간의 물리력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개념의 각도가 달라지면 응당 사물과 행위에 대한 인지범주의 다른 차원이 열리지 않겠는가.

 

ACT OF GRAVITY © Søren Meisner
ACT OF GRAVITY © Søren Meisner

이후 이어지는 55분간의 공연은 이 같은 이해의 시연(示演)이다. 상단으로 설치된 무대의 바닥은 (보이지는 않지만) 트램펄린이다. 돔형 지붕으로 확장된 공간의 가장자리에는 다양한 각도를 지닌 하얀색 입방체 구조물들이 서있다(이 구조물들은 바닥의 중력으로부터 해방된 무용수들에게 또 다른 지면이 된다). 공간에는 비디오 프로젝션과 전자음악으로 빚어진 우주적 빛과 소리가 부유한다. 아스트리드 폴린 슈미트 안데르센(Astrid Pauline Schmidt Andersen), 파비안 윅스(Fabian Wixe), 우라나 마르케시니(Urana Marchesini), 빈센트 욘슨(Vincent Jonsson) 등 4명의 무용수가 진행하는 중력의 서사는 작품세계 내 모든 방향에서 펼쳐지는 모든 것들의 관계항이다. 트램펄린에 의해 지구 중력과는 다른 팩터의 물리적 조력을 받는 무용수들의 움직임은 제한 없는 자유와 배가된 강밀도(剛密度)를 획득한다. 그리고 양각된 빛의 파장과 사운드의 파동, 모든 항목이 꽉 찬 수위로 연출된 시노그래피는 춤이란 과연 일상적 몸의 일을 넘어 시간과 공간, 그 속의 모든 것들과의 관련 속에서 빚어지는 초과적 행위임을 절감케 해준다. 감각과 사유의 지평을 넓혀주는 각성의 계기, 예술의 의미를 실감케 해준 작품.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