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리뷰] 2022 CPH STAGE, 그 마지막 날
[축제리뷰] 2022 CPH STAGE, 그 마지막 날
  • 하영신 무용평론가
  • 승인 2022.08.15 14: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동체적 삶, 그 지속가능성에 관한 다양한 장면들 혹은 입장들
CPH STAGE banner © Danish performing arts
CPH STAGE banner © Danish performing arts

[더프리뷰=코펜하겐] 하영신 무용평론가 = <CPH STAGE>는 수도 코펜하겐에서 열리는 덴마크의 공연예술축제다. 2013년에 개시, 9회에 당도한 올 해의 행사는 6월 2일부터 11일까지 열렸고 필자는 8일부터 10일까지의 국제 방문자 프로그램(International Days)를 참관했다. 모든 현장은 저마다의 현장, 세계 공연예술의 판도가 ‘contemporary’라는 슬로건 아래 통합되는 듯해도 그래도 현장들은 각자가 걸어온 역사의 끄트머리, 결코 나란하지 않다. 다른 현장에는 다른 감도의 장면들이 있다. 이를 소개한다.

 

RE(W)RITE! © Cantabile2
RE(W)RITE! © Cantabile 2

RE(W)RITE!

company: Cantabile 2

제목자의 의미심장한 조어(造語)를 나의 몸으로 수행하기. 작품의 시간을 경과하며 개인의 기억과 경험을 ‘다시(re)’ ‘쓰기(write)’. 스스로를 개방하여 시간과 공간과 타인들과 섞일 수 있다면, 작품의 결과는 공동체적 기억과 현실을 살아갈 힘을 보태어주는 ‘제의(rite)’가 된다. 아마도 경우에 따라서는 누군가, 누군가의 파트너, 혹은 세션 전체의 실패가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의 경우에는 완벽한 경험이었다.

그 결과가 어떻게 달성되었는지는 분석할 수 없다. 장소성, 프로그램, 주관하는 자의 몸성, 참여자들의 참여도, 그리고 나의 역사 전체의 조응, 이 모든 것의 우발적 함수. 집단적인 듯해도 과정과 결과는 개별적이고 그러나 공동의 기억을 나누어가지고 헤어지니 결국은 집단적인. 그 누적하고 교차하는 각각의 사건들을 어떻게 기록할 것인가. 개인의 고유한 경험을 상세히 이야기하는 수밖에 이 작품을 설명할 신통한 방법이 없을 듯하다.

 

RE(W)RITE! © Cantabile2
RE(W)RITE! © Cantabile 2

공연 장소가 적힌 주소를 찾아간다. 덴마크의 공연장들마다 대개 독특했지만 이번에야말로 명백하게 극장시설이 아니다. 당도하니 먼저 온 네댓 명이 건물 밖에 서 있다. 진행요원으로 보이는 중년의 여인이 명단에 이름을 기표하면서 공연 전 미리 화장실을 이용하고 싶은가를 물었고, 나는 그렇다고 했다. 건물 안으로 안내를 받았다. 화장실은 1층에 위치하고 있었는데, 화장실의 형태나 건물 내부의 분위기가 묘했다. 공적 용도는 확실히 아닌 듯했지만 그렇다고 사적 용도도 아닌 듯한, 어떤 모호한 공기.

아무튼 다시 사람들이 있는 밖으로 나온다. 누군가 이 건물이 ‘프리메이슨(Freemason, 18세기 영국에서 결성된 비밀결사단체로, 각종 음모에 연루설이 있다)’과 연관이 있는가 물었다. “비슷하지만 다른 단체”라는 대답이 들린다. 그제서야 나는 ‘Seraphion Ordenen’이라는 건물명을 검색해본다. ‘세라피온은 기독교 덴마크 문화유산에 뿌리를 두고 1888년에 설립된 덴마크의 형제회로 윤리적·인도주의적·자선적 가치를 추구한다. 프리메이슨처럼 밀교 시스템으로 운영되지만 프리메이슨 교단은 아니다.’(wikipedia 정리) 그래서! 건물 내부의 뉘앙스가 이해가 간다.

 

공연장 내부 (사진제공=하영신)
공연장 내부 © Cantabile 2

밀교집회로 의심하기엔 공연에 대한 사전정보가 많다. 이 특이한 공연을 기획·제작한 칸타빌레 2(Cantabile 2)는 덴마크 공연예술을 소개한 첫날의 세션에서 평론가 모나 디머(Monna Dithmer)가 ‘인간특정형 공연(human specific performance)’을 추구하는 특유한 단체로 거명한 바가 있다. ‘피지컬 시어터’와 어떻게 다를 것인가, 각별히 궁금하여 미리 좀 살펴봤었다.

눌루 팍키니(Nullu Facchini)가 1983년 설립한 칸타빌레 2는 앞서 말한 ‘인간특정형 공연’이란 특성 외에 ‘인터랙티브(interactive)’하고 ‘실험적인 성향의 공연(experimental theater)’ 을 추구한다고 한다. <Re(w)rite!>는 2021년의 첫 여정으로부터 관객들과 경험치를 쌓으며 몇 가지 버전으로 증식했다. 현재까지 10가지 유형의 공간과 35가지 의례가 모듈로 갖추어졌고 단일 세션은 보통 둘에서 많게는 네 개의 모듈로 구성된다고 한다. 내가 경험한 모듈은 두 가지였다. 특정 공간 속에서 신체적이고 정신적인 교류를 섬세하게 발생시킴으로써 개별적인 근접을 통한 깊은 이해와 소통 그리고 변화를 창출하는, ‘인간 특정형’ ‘인터랙티브’라는 개념어들의 의미가 실질적으로 구현되는 그런 작품이었다. 그 체험적 과정을 펼쳐보면 다음과 같다.

 

RE(W)RITE! © Cantabile2
RE(W)RITE! © Cantabile 2

오늘 나에게 주어진 장소성은 사원 혹은 비밀결사체의 은닉처다. 작품이 개시되면 두 명씩 건물 안으로 입장을 안내 받는다. 누군가는 1층으로, 누군가는 2층으로 인도된다. 나는 1층으로 안내받았다. 꽤 넓은 방의 가장자리를 둘러 각기 다른 타입의 의자들이 불규칙하게 놓여있고 마음에 드는 자리로 착석하면 양말을 나눠준다. 신발을 벗고 양말 차림으로 있으라 하는데, 서구 중세풍 너른 방에서의 탈화(脫靴)라니 동양인인 나에게조차 생경한 이 행위가 서양인들에게는 더욱 특별한 절차였으리라. 쩌그덕 소리를 내는 마룻바닥, 벽채에 걸린 커다란 액자들은 무명천으로 가려져 있어 비밀스러운 뉘앙스들을 더하고(나는 한 시절씩 이 공간을 차지했던 누군가들의 초상화를 상상했다) 창틀, 커튼, 샹들리에 펜던트 곳곳에서 세월이 감지된다. 특별할 리 없는 주광(晝光)에서조차 오래 묵은 향이 나는 듯, 상상인지 실제의 감각인지, 아무튼 온몸이 낯섦을 탐색하느라 항진된다. 열 네댓 명쯤의 사람들이 그렇게 앉아 저마다의 촉수를 세운다.

 

RE(W)RITE! © Cantabile2
RE(W)RITE! © Cantabile 2

수도승 복장의 한 여성이 들어온다. 느리고 나직한 음성을 지녔다. 차근차근 주변을 살펴보기를 권유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우리가 여기서 이 시간을 보내고 나면 이 공간의 모든 것들이 다시 쓰여지고, 그리고 우리도 변할 것이라고 말한다. 그녀의 요청에 따라 다함께 이런저런 일들을 한다. 방안을 걸어보기도 하고 마음에 드는 의자에 앉아보기도 하고 다시 걷고 걸으면서 어쩐지 마음에 끌리는 누군가를 염두에 두어보기도 하고… 별일 아닌 행위들에 마음을 실으니 별일이 되고 또 실제로 일상적이지 않은 어떤 구체적인 일들을, 예를 들면 진짜 비밀결사체처럼 옆 사람이 건네는 상자에서 접힌 종이를 꺼내 소리 내어 읽기도 한다. “A place is never just that place. It is also a little bit us. In some way, without knowing it, we carried it inside. And one day, by chance, we were there.(어떤 하나의 장소는 결코 그 장소인 것만은 아니다. 어느 정도는 우리다. 어떤 점에서는, 그 사실을 알지 못한 채, 우리는 그것을 내부로 옮겼다. 그리고 어느 날, 우연히, 우리는 그곳에 있었다.)” 나에게 주어진 문장은 이것이었다. 명징하고도 알쏭달쏭한 문구, 나의 독해는 이러했다. 1부는 이렇게 부지불식간에 지나치던 세계 혹은 잠재된 시간의 두께 그리고 동참하는 사람들에 대한 감각을 활성화시키는 작업이었다.

 

RE(W)RITE! © Cantabile2
RE(W)RITE! © Cantabile 2

2층으로 이동한다. 2층은 채광창이 없는 실내, 1층보다 밀폐감이 있는 공간이다. 1부에서의 작업이 심화될 모양이다. 가로 긴 변 가장자리 일렬로 의자들이 놓여있고 자리마다 헤드폰이 놓여있다. 열댓 명 전원이 한편으로 앉아 세션의 시작을 기다린다. 이번 모듈의 인도자는 남성으로, 그는 진짜 수도승의 뉘앙스를 지니고 있다. 헤드폰에서는 명상적인 사운드가 송출되고 있다. 사운드를 배경으로 “Those who are~”로 시작되는 그의 언사(言事)가 진행된다. “어렸을 때 누군가를 짝사랑해본 적이 있는 사람” “누군가를 한 번도 배신해보지 않은 사람” “아이를 잃은 경험이 있는 사람” 등등 기억을 소환하는 그의 언도(言導)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일어나 반대편으로 가 앉는다. 각자는 인도자가 제시하는 경험들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확인하거나 깨닫고, 타인의 기억을 공유한다. 일상사처럼 붙들리는 것도 있고 흘러가는 것들이 더 많다. 그 세부사항들이 낱낱이 저장되는 것도 아닌데 어쩐지 사람들이 선명해진다. 각자의 뉘앙스가 짙어지는 느낌이다.

이제 그는 우리에게 마음대로 돌아다니라고 했다. 섞이는 느낌이랄까, 아마도 우연, 운명(나는 개인적으로 이런 항목이 삶의 상위법칙이라고 생각한다. 일어나야 할 일들이 일어난다는 긍정적 관점에서)이 작동할 시간인가보다. 그렇다. 누군가 끌리는 사람이 있으면 마주보고 서라고 했다. 나는 나보다 몸집이 크고 넉넉한 여성과 짝이 되었다. 몇 가지 문장에서 ‘건강하고 강한 사람인가보다’ 좋아보였던 이다. 나의 인상 혹은 기억이 그녀에 부합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질문들이 그녀를 다 구성할 수 없고, 내가 그 답 전부를 기억하는 것도 아니고, 또 어떤 답들은 그녀의 세월 속에서 상충하기도 할 것이다. 아무튼 나는 어느 대목에선가 돌려받지 못할 사랑도 개의치 않고 하는 당당한 사람으로 그녀를 기억했다. 그렇다고 그 이유로 특별히 그녀를 찾은 건 아니었다. 그냥 이렇게 마주 서있게 되었다.

 

RE(W)RITE! © Cantabile2
RE(W)RITE! © Cantabile 2

그런데 그녀가 자꾸 눈가를 훔치기 시작했다. 나는 한 손으로 조심스럽게 그녀의 팔을 쓸어 위로했다. 오래지않아 우리는 자석이 달라붙듯 서로를 꼭 안았다. 그 순간 사태가 명백해졌다. 울어야 할 시간이었다. 나는 영문을 모른 채 온몸을 떨며 격하게 울었다(잘 안 우는 타입이다. 아니 실은 우는 일에 심리적 저항을 가진 타입임을 오래 전부터 알고 있다).

천천히 등을 쓸어 주는 손, 빈틈없이 안아준 몸, 상승하는 체온, 땀, 엄마, 언니… 어떤 구체적 사건이 특정된 건 아니었다. 그냥 알아졌다, 나의 슬픔, 불안, 고독, 혹은 고통의 근원. 내 인생의 결여의 자리가 확인되었고 이제 더 이상 결핍이 아닐 수 있을지도, 적어도 그 결락이 발동될 때 기억하게 될 누군가를 만났다. 이것은 과장이 아니다. 나는 지금도 그 때를, 그녀를, 그녀의 몸, 그녀의 마음을 물리적으로 생생하게 떠올릴 수 있고 여전히 뭉클하다. 아마도 고통스러워질 때 그녀의 품을 찾게 될 것이다, 엄마, 나의 내부에 그 자리가 생겼다, 그것도 아주 구체적인 부피와 온도와 호의, 생생한 몸적 기억으로.

 

RE(W)RITE! © Cantabile2
RE(W)RITE! © Cantabile 2

세션이 종료되고 나는 사람들에게 둘러싸였다. 누군가 우리를 보고 있을 수도 있을 거라는 생각을 전혀 못했었는데…. 괜찮아? 어? 혹시 내가 너희들의 시간을 방해했을까? 아니! 그게 나의 체험은 아니었지만 공연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잘 볼 수 있어서 좋았어! 다행이다. 내가 작년에 그랬어, 너처럼, 나는 끝나고도 30분 넘게 울음을 멈출 수 없었어, 그때의 기억이 너무 좋아서 그래서 오늘 또 참석한 거야……그리고 그녀, 엄마,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나는 평생 이 순간을 잊지 못할 거예요.” “그럼요, 나두요.” 다시 울컥해져서 서둘러 자리를 떠났다.

이렇게 나는 우리 시대의 제의 <Re(w)rite!>를 면밀히 체험할 수 있었다. 예술은 우리 삶 속에서 다양한 면모로 기능하지만 오늘처럼, 일종의 강렬한 종교적 체험처럼, 일상적이고 개인적인 역사로부터 도약의 순간을 맞고 공동체의식으로 확장될 수 있는, 그리하여 작품의 이전과 이후에 내가 달라지는(rewrite!) 그런 깊숙한 체험이 예술적 체험의 원천이라 믿는다. 확신한다. 즐거웠던 순간들은 이내 곧 희석되지만 오늘의 체험은 인생의 다른 국면에서 다시 현행화되고 다른 상황적 요소들과 만나 ‘다시’ ‘쓰여’질 것이다. 일종의 태도, 그가 세상과 작동하는 어떤 방식을 만들어주는, 인간성을 강화하는 ‘human specific performance’.

 

RE(W)RITE! © Cantabile2
RE(W)RITE! © Cantabile 2

에필로그

덴마크 문화예술의 어젠다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에 대하여.

관람은 매번 다른 사건이다. 미학관의 종류, 완성도, 그런 것과는 상관없이 진심이면 족하다, 그 진심을 놓치지 않게 해달라고 매번 성호를 그으며 임하지만 오래된 관찰자에겐 어쩔 수 없이 스스로 그려낸 낡은 지도 한 장쯤은 있는 것이다. 거기에는 프로와 아마추어, 순수예술과 대중예술 기타 등등 어떤 고정값들이 있기 마련이다. 덴마크에서 만난 공연예술 작품들은 그 고정항목들을 충격했다. 그렇다고 지도가 생판 새로 쓰여지지는 않겠지만 어쨌든 새로운 내역들 혹은 질문이 입력되며 수정본이 그려질 것이다.

아르네 야콥슨(Arne Jacobsen)·핀 율(Finn Juhl)·한스 베그너(Hans Wegner)·뵈르게 모겐센(Børge Mogensen) 등 스칸디나비아 스타일 하면 응당 떠올리는 세계적 명성의 덴마크 가구디자이너들, 클래식이 된 그들의 체어(chair)들처럼 군더더기 없이 매끈히 완결된 작품들이 기다리고 있을 거라고 예상했었다. 그러나 이 초면의 도시에서 나를 기다리고 있던 작품들은 표면장력이 그리 매끈하지는 않았다. 어떤 부분은 넘치고, 어떤 부분은 아쉽고, 어떤 부분은 생경해서 울퉁불퉁 꺼끌꺼끌하게 느껴지곤 하는 덴마크의 작품들.

나는 종종 ‘오징어게임’ ‘박찬욱’ ‘BTS’ 등 세계를 매혹시킨 우리 문화예술의 몇몇 고유명사들을 떠올렸다. 그런 종류의 서사와 장면, 속도, 호흡을 좋아하거나 찬성하는 건 아니면서도 덴마크의 작품들을 겪으면서 자꾸 생각하게 되었다. ‘웰 메이드’의 기준에서 소위 ‘장악력’이라는 항목을 신뢰하고 있었나. 작가가 작품을, 작가가 연행자들을, 작품이 관객을, 연행자들이 관객을, 완전히 통제하고 사로잡는 그런 종류의 카리스마에 길들여 있었나. 정상(top)급, 프로페셔널에 관해 습관적으로 선을 긋고 있었음을 덴마크의 작품들이 일깨워주었다.

 

RE(W)RITE! © Cantabile2
RE(W)RITE! © Cantabile 2

덴마크 문화예술의 의제(agenda)는 ‘지속가능성’이다. 페스티벌의 구체적 포럼과 발제의 내역까지 온통의 관심사였다. 그러나 그것은 추상적 구호가 아니었다. 덴마크의 공연예술을 소개하는 세션에서 보라보라극장 감독 로테(Lotte Kofod Ludvigsen, venue director of Bora-Bora)가 염려한 것은 팬데믹 상황을 지나며 어려워졌을 예술가들의 삶과 활동에 관한 지속가능성이었고, 이 나라의 대표적인 안무가 티나 타프고르(Tina Tarpgaard)가 최신작 <Mass–Bloom Explorations>의 주인공으로 무수한 거머리들을 발탁하여 말하고자 한 것은 인류의 공생가능성이었다. 이 작품의 프로듀서 카를로스(Carlos Calvo)는 벌레라면 듣기만 해도 싫다고 손사래를 치며 팔에 돋은 소름을 보여주는 나에게 환경과 문명에 들이닥친 위기로부터 지속가능성을 열어줄 거머리들을 예쁘게 보아주라고, 마음의 문을 열면 사각사각사각사각 발포 플라스틱 쓰레기를 갉아먹는 그들의 소리가 음악처럼 들린다고 했다.

신재생에너지나 도시 인프라 전환 등을 둘러싼 정책적 구호가 아니라 구체적인 생활 속에서 작동하는 실질적인 염려로부터 구체화되는 어젠다 ‘지속가능성’은 평론가 모나 디머가 꼽았던 덴마크 공연예술의 세 번째 특징인 ‘사회관여적 예술’로 연계된다. 생각해보면 덴마크에서 본 작품의 거의 모든 장면들이 공동체의 삶에 연관한다. 공동체로부터 환영받지 못할 때 어디로 가시렵니까를 묻는 <Limbo>와 <Canada>, 다른 능력을 지닌 몸들의 협업 가능성을 일깨워준 <Stormen>, 공동체를 위한 유희 <Kaboom>과 <M.I.S.All Night Long>, 공동체의 회복과정이었던 <Re(w)rite!>까지, 작품마다 공동체를 살리는 재생의 팩터들이 심겨져 있었다.

무수한 작품들로부터 깨닫게 되는 최소한의 진리는 작품은 작가를 벗어나는 법이 없고 작가는 그가 속한 사회적 환경 안에 있다는 것이다. 덴마크의 작품들은 그 진리를 촉진(觸診)하게 해준다. 관계가 첨예한 경쟁구도 속에 놓여 있지 않고 대개의 선택들이 좌초되지 않는 사회환경에서 사람들은 여전히 ‘우리’라는 공동체의식을 간직할 수 있고 그를 말하는 작품들의 감도와 속도는 순하고 자연스럽다.

살짝 구색(舊色)인들, 떠들썩한 스타들이 없어도 다수의 예술가들이 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궁리하며 공동체적 삶을 떠받치고 있는 이 나라. 덴마크의 공연예술을 소개하던 첫날의 세션에서 평론가 모나 디머가 진심으로 전하고 싶었다며 서두에 인용한 이 나라의 젊은 문화부장관 아네 할스보에-예르겐센(Ane Halsboe-Jørgensen)의 당부가 떠오른다.

“우리는 여러분들이 필요합니다. 삶에 관한 여러분들의 관점이 필요합니다(We need you. We need your view on life).”

나에게도 절실해졌다. 공동체적 삶의 회복, 공동체적 삶으로의 귀환을 힘주어 말할 우리네 예술가들. 정치든 예술이든 모두의 삶과 박리된 것은 아무 것도 없다. 폐허나 지옥도에서 살아남는 소수가 된들. 온전한 삶은 모두의 지속가능성에 기인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